형이상학은 ‘어떤 것이 실제로 존재하는가?’, ‘나란 무엇인가?’와 같은 존재에 관한 문제들을 다룬다. 인간은 언제나 새로운 문제에 직면한다. 그 문제가 사소하든 심대하든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세계와 자신에 대한 이해는 중요한 바탕이 된다. 형이상학적 사유는 세계와 인간 자신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지평과 터전을 마련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케 해 준다. 따라서 형이상학적 사유는 언제나 요구되며 여전히 유효하다.
머리말 형이상학은 꼭 필요한가?
1 형이상학은 우리의 삶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?
합목적적 삶이란 무엇일까? / 철학은 왜 합목적적 삶에 기여해야 할까? / 형이상학은 우리 삶에 어떤 유용성이 있을까?
2 철학에서 형이상학은 어떤 역할을 할까?
형이상학의 임무는 쓰레기 청소일까? / 쓰레기 청소를 넘어서는 형이상학의 역할은 무엇일까?
3 도대체 형이상학적 문제란 어떤 것일까?
형이상학과 과학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? / 형이상학은 어떤 문제를 다룰까? / 실재와 개념은 서로 어떤 관계에 있을까? / 형이상학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?
4 어떤 사람이 형이상학적 사유를 할까?
인간과 동물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? /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본질적 특징은 무엇일까? / 형이상학적 질문이란 무엇일까?
5 형이상학적 사유는 어떻게 시작됐을까?
세상은 물로 이루어졌다는 말은 어떤 의미일까? / 변화가 세상의 참된 모습일까?
세상에는 변화란 결코 존재하지 않는 걸까? / 형이상학의 두 가지 대립적인 세계관은 철학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?
6 플라톤적 사랑은 정말 가능할까?
현상의 배후에는 무엇이 있을까? / 현상과 실재는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질 수 있을까? / 특수와 보편은 서로 배타적 관계에 있을까?
7 자연 과학은 형이상학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?
철학은 어떻게 신학의 시녀가 됐을까? / 과거에는 왜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했을까? / 지동설은 어떻게 새로운 우주관으로 관철됐을까? / 철학도 과학처럼 엄밀하고 객관적일 수 있을까?
8 어떻게 세상의 중심에 인간이 자리하게 됐을까?
학문의 튼튼한 토대는 왜 중요할까? / 모든 것을 의심할 때 남는 것은 무엇일까?
생각하는 나는 육체와 어떻게 연결될까? / 확실한 지식의 원천은 이성 이외에는 없을까? / 경험으로부터 보편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을까? /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은 무엇일까? / 자연법칙의 입법자는 누구일까?
9 여전히 인간 주체가 세계의 중심에 자리할 수 있을까?
인간 중심주의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? / 이성의 타자는 어떻게 새 무대의 주인공으로 등장했을까? / 형이상학적 사유는 여전히 유효한가?
더 읽어 볼 책들